리눅스 디렉토리구조
리눅스 디렉토리구조입니다. 각 디렉토리의 내용을 확인하고 의미를 기억하세요.
/ : 최상의 디렉토리인 루트디렉토리
/bin : 중요하고 꼭 필요한 명령어가 있는 디렉토리
/boot : 커널(vmlinux등) 시스템 부팅에 관련된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dev : 시스템 디바이스(device)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etc : 패스워드파일등 시스템의 전체 환경설정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home :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대부분 ID와 동일한 이름의 디렉토리를 가짐.
/lib : 프로그램(C, C++등)에 필요한 각종 라이브러리를 저장
/media : 플로피, CD-ROM등 마운트를 위한 디렉토리.(/mnt in redhat9)
/proc : 실행중인 프로세스나 현재 시스템정보를 파일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가상디렉토리.
/root : root의 홈디렉토리.
/sbin : 시스템 관리자용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디렉토리.
/tmp :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디렉토리.
/usr : 각종 어플리케이션등이 설치되어 있는 디렉토리.
/var : 시스템운용 중에 생성되었다가 삭제되는 데이터를 일시적 저장을 위한 디렉토리.
/usr/bin : 일반사용자들이 사용가능한 명령어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usr/X11R6 : X 윈도우 시스템의 루트 디렉토리.
/usr/include : C 프로그램에 필요한 헤드파일(*.h) 디렉토리.
/usr/lib : /lib에 들어가지 않은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usr/man : 명령어들의 도움말을 주는 매뉴얼(manual)페이지 디렉토리.
/usr/sbin : /bin에 제외된 명령어와 네트워크관련 명령어가 들어있는 디렉토리.
/usr/src : 프로그램 소스(주로 커널소스)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usr/local : MYSQL, Apache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는 장소.
/var/log : 각종 로그파일(messages 파일등)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var/spool/mail : 각 계정사용자들의 메일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var/spool/lpd : 프린트를 하기 위한 임시 디렉토리(스풀링 디렉토리).
/var/spool/mqueue : 발송을 위한 메일 일시저장 디렉토리
/var/spool/cron : 각 사용자들의 cron 설정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var/spool/at : atd 즉, 예약작업에 간한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var/ftp : FTP서비스를 위한 다운로드될 파일들 즉, FTP홈디렉토리
/var/www : RPM으로 설치된 아파치의 홈페이지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즉, 아파치 홈페이지 디렉토리
/var/named : BIND 즉, DNS에서 사용하는 zone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
/etc/mail : sendmail.cf나 access파일등의 sendmail의 설정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etc/ssh : SSH서비스, 즉 sshd데몬에서 사용하는 각종 설정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etc/squid : squid 프락시서버의 설정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etc/samba : 삼바관련 설정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etc/skel : 계정사용자 생성시의 초기화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useradd에서 사용함)
/etc/rd.d : 부팅레벨별 부팅스크립트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
/etc/pam.d : PAM설정 정보파일들이 저장된 디렉토리
/etc/httpd : RPM으로 설치된 아파치 설정파일(httpd.conf등)들이 저장된 디렉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