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DP(Cisco Discovery Protocol) : Cisco 독자적인 프로토콜로서 Cisco 장비를 찾아내는데 사용한다(데이터 링크 계층). 하드웨어 타입과 소프트웨어 버전, 그리고 Cisco 장비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활성화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데 사용된다. 장비 간에는 SNAP(Subnetwork Access Protocol)프레임을 사용하며 라우팅은 할 수 없다
■ 명령어
Router# sh cdp
☞ 라우터가 매 60초마다 한번씩 CDP 패킷을 보내고 있다(update time). 이때 들어와야 할 시간동안 들어오지 않는다면 최대 180초 동안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정보를 가지고 기다리겠다는 것이 holdtime이다. 이값은 디폴트 값이고, 시스코 장비는 CDP가 디폴트로 활성화 되어 있다
Router# sh cdp neighbors
☞ 각 포트별 연결된 장비와 장비 종류, holdtime등이 나오는데 만약 라우터2라는 장비의 holdtime이 150 이라고 한다면 그 라우터는 새로운 정보를 받은지 30초가 지났다는 말이고, 이 holdtime이 0이 될때까지 라우터2로 부터 새로운 정보를 받지 못하면 이 라우터는 라우터2의 정보를 CDP에서 삭제한다
Divice ID : 장치의 호스트명
Local interface : CDP 패킷을 받는 포트 or 인터페이스
Holdtime : CDP 패킷이 더 이상 들어오지 않을 때 , 라우터가 기존의 정보를 버리지 않고 유지할 수 있는 시간
Capability : 인접장치(라우터, 스위티, 리피터)의 Capability Capability code는 명령어의 결과의 맨 처음에 나타나 있다
Platform : Cisco 장치의 종류 Cisco 2500
Port ID : CDP 패킷이 브로드캐스트 되는 인접장치의 포트나 인터페이스
Router# sh cdp entry *
☞ neighbors보다 자세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스위치에는 셋팅된 IP, 라우터에도 IOS버전과 IP주소를 알수 있다.
같은 명령으로 sh cdp neighbors detail 명령이 있다
Router(config)# cdp timer 90
☞ update time을 조정
Router(config)# cdp holdtime 240
☞ holdtime을 조정
Router(config)# no cdp run
☞ 상대방 라우터에서 우리쪽 라우터의 정보를 볼 수 없게 하고자 할때 라우터 전체에 CDP를 disable을 시킨다. 하지만 이때 우리쪽 라우터에서도 상대쪽 라우터의 정보를 확인할수 없다
Router(config)# cdp run
☞ 상대방 라우터에서 우리쪽 라우터의 정보를 볼 수 있게 할때 라우터 전체에 CDP를 enable을 시킨다.
Router(config)# int s 0
Router(config-if)# no cdp enable
☞ 라우터 전체에 CDP를 disable 시키는게 아니라 시리얼 0쪽으로는 CDP패킷을 받지도, 보내지도 않게 설정한다
Router(config)# int s 0
Router(config-if)# cdp enable
☞ 라우터 전체에 CDP를 enable 시키는게 아니라 시리얼 0쪽으로는 CDP패킷을 보내고 받을때 설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