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월차 - 종합 실습]
1. CentOS 6.8 DVD 파일을 다운로드 받자
http://ftp.neowiz.com/centos/6.8/isos/x86_64/CentOS-6.8-x86_64-bin-DVD1.iso
http://ftp.neowiz.com/centos/6.8/isos/x86_64/CentOS-6.8-x86_64-bin-DVD2.iso
2. VMWare 12 를 설치하자.
3. VMWare에 CentOS6.8를 설치하자.
(설치 옵션)
1)하드디스크 : sda 30G
: sdb 10G (차후에 사용 할 것임)
2)Network : NAT
3)Partition : / (3G) , /boot(200M), /usr(6G), /var(2G), swap(2G)
/home(3G) /depts(나머지)
4)시간대 설정 : [해제] 시스템시간을 UTC에 맞춤(s)
5)Root 암호 : itbank
6)패키지 유형 선택 : 오직 Server만 선택
7)CentOS 설치후 작업 : 방화벽, SELinux , Kdump, 날짜 시간 모두 기본선택 설정
8)사용자 생성 : 사용자명 : centos 암호: centos
*)지정하지 않은 모든 것은 기본값으로 하세요.
4. 괄호안{HR,IT,MGT,ACC,CON,SHR}에 있는 여섯 디렉터리를 /depts 하위에 생성하세요.
5. 사용자를 생성할때 'notice' 라는 파일이 각 사용자의 홈디렉터리에 자동 생성되도록 하세요.
(notice파일의 내용은 : "홈디렉터리에 있는 내용은 스스로 백업 하세요." 입니다.)
사용자 uid 그룹 gid 홈디 공통비번
chris 500 ITs 500 /home/chris itbank
john 501 HRs 501 /home/john itbank
peter 502 MGTs 502 /home/peter itbank
david 503 ACCs 503 /home/david itbank
daniel 504 CONs 504 /home/daniel itbank
MGRs 1000
6. 5번 과정에서 생성한 다섯명의 사용자는 각각의 그룹과 더불어 추가그룹 MGRs에 소속원이 되게 수정 하세요.
7. 디렉터리 소유자 및 그룹 변경하세요.
디렉 소유자 그룹
IT chris ITs
HR john HRs
MGT peter MGTs
ACC david ACCs
CON daniel CONs
SHR root root
8. 일반 사용자 생성
. 사용자 uid 그룹 gid 홈디 공통비번
alice 505 ITs 500 /home/alice itbank
bob 506 HRs 501 /home/bob itbank
hellen 507 MGTs 502 /home/hellen itbank
elina 508 ACCs 503 /home/elina itbank
stepan 509 CONs 504 /home/stepan itbank
9. 사용권한 및 할당 규칙들
1)MGRs그룹에 소속된 사용자들은 각 부서의 manager들입니다.
2)manager들이 부서명으로 된 디렉터리에 대해서 모든 사용권한을 갖는다.
3)각 부서원들은 읽고,쓸수 있는 권한을 주십시요.
4)부서원이 아니면 디렉터리에 cd명령으로도 접근할 수 없어야 한다.
5)SHR 디렉터리는 이 회사의 모든 사원들이 모든 권한 가진다.(단,자신의 소유파일만 지울 수 있도록 하시고, 타인의 파일은 지울 수 없도록 하세요.)
6)/depts 파티션은 각 그룹들이 300Mbyte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한다.
10. root사용자는 자신의 홈디렉터리에 'notification' 이라는 파일명을 생성한다.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절대로 자신의 비밀번호는 타인과 공유해서는 안됩니다.
바이러스 검사를 꼭 하신후 업로드 해 주세요.)
11. 'notification' 파일을 각각의 부서디렉터리로 복사해주시고 root를 포함한 어떤 누구도 지울 수 없도록 하세요.
12. sum.sh 파일이름을 /root 디렉터리에 생성하세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echo =============================================
echo -n "계산이 필요한 디렉터리명를 입력하세요 : "
read dname
echo ""
cd $dname
echo 현재 $dname 디렉터리에 대한 $USER님의 사용용량은 :
ls -l | grep $USER | awk '{sum +=$5} END{print sum/1024/1024"M입니다";}'
echo =============================================
13. sum.sh 파일을 모든 사용자들이 실행 가능하시고, 어떤 위치에서라도 실행할 수 있도록 만드세요.
14. sum.sh 파일을 각각의 부서명디렉터리에 링크파일명은 dirsum 으로 소프트링크를 만드세요.
15. 3-1과정에서 추가된 sdb를 사용하여 파티셔닝, 포맷, 자동마운트를 하세요.
1) 디렉토리 구조
/---
|-- board1
|-- board2
|-- qnaboard
|-- accounts
|-- teams
|-- linux1
|-- linux2
|-- linux3
|-- linux4
|-- linux5
|-- linux6
2) 파티션 용량 및 마운트 지점
장치명 용량 마운트지점
/dev/sdb1 1G /board1
/dev/sdb2 1G /board2
/dev/sdb3 1G /qnaboard
/dev/sdb5 1G /accounts
/dev/sdb6 1G /teams/linux1
/dev/sdb7 1G /teams/linux2
/dev/sdb8 1G /teams/linux3
/dev/sdb9 1G /teams/linux4
/dev/sdb10 1G /teams/linux5
/dev/sdb11 1G /teams/linux6
3) /etc/fstab 파일에 다음과 같이 되도록 필요 가능한 모든 설정을 하세요.
LEBEL=/board1 /board1 ext3 defaults 0 0
LEBEL=/board2 /board2 ext3 defaults 0 0
LEBEL=/qnaboard /qnaboard ext3 defaults 0 0
LEBEL=/accounts /accounts ext3 defaults 0 0
LEBEL=/linux1 /linux1 ext3 defaults 0 0
LEBEL=/linux2 /linux2 ext3 defaults 0 0
LEBEL=/linux3 /linux3 ext3 defaults 0 0
LEBEL=/linux4 /linux4 ext3 defaults 0 0
LEBEL=/linux5 /linux5 ext3 defaults 0 0
LEBEL=/linux6 /linux6 ext3 defaults 0 0
16. /linux1 디렉터리에 모든 파일의 크기는 512byte가 되도록 파일을 생성하세요.
파일명 size
file01 ~ file10 512bytes
17. /linux1에서 만든 10개의 파일을 linuxfile.tar.gz 파일로 압축하세요.
18. /linux2 ~ /linux6 각각 디렉터리에 linux1file.tar.gz 파일의 압축을 해제 하세요.
19. rpm 패키지를 http://rpm.pbone.net/index.php3/stat/2/simple/2 사이트에서 (mc-4.8.0.1319367159-26.3.x86_64.rpm)을 다운받아 설치하세요.
20. yum를 사용하여 'wireshark-gnome' 라는 rpm을 설치하세요.